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관세 면제 조치가 “작은 발걸음”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상호 관세를 “완전히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미국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해 145%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미국이 국제 사회와 국내의 합리적인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잘못된 결정을 수정하는 큰 걸음을 내딛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의 온라인 성명에 따르면, 이들은 미국이 “상호 관세”라는 잘못된 행동을 완전히 폐지하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평등한 대화로 다양한 차이를 해결하는 올바른 길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은 이번 관세 면제가 기술 제품에 미치는 관련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중국 내 여론은 보도 매체와 소셜 미디어 모두에서 조회되며 반영되고 있다. 최근의 관세 면제 조치는 미국이 후퇴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 공급망이 미국 기업들이 쉽게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정식 매체인 베이징 일보는 “공공지설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또다시 후퇴했다는 것으로 널리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웨이보에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후퇴했다”는 해시태그가 인기 검색 목록에서 2위에 랭크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금요일 늦게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태양광 셀 및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일부 널리 사용되는 기술 기기와 구성요소에 대해 상호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결정은 애플을 포함한 대형 기술 기업들에게는 상당한 승리로 해석된다. 그러나 중국 관세가 미국 경제와 중소기업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돌이킬 수 없는 것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중국 제품에 대한 20%의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며, 이는 관세 면제 발표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다. 중국은 여전히 미국 상품에 대한 상호 관세를 84%까지 인상할 예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백악관은 CNBC의 논평 요청에 즉각적인 응답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계속해서 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양국 간의 무역 협상과 정책 결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