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진핑 주석이 미국 대통령-elect 도널드 트럼프와의 무역 분쟁 해결을 위해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력한 신호를 보냈다. 이는 잠재적인 무역 전쟁의 위험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징의 메시지들이 공개된 만큼 ‘불안감’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상하이 미 상공회의소 회장인 케네스 자렛은 이러한 베이징의 노력이 ‘상호 협력’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미국-중국 비즈니스 위원회에 보낸 서한에서 양측이 “대화보다는 대립을, 제로섬 게임보다는 윈-윈 협력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외국 기업, 특히 미국 기업을 위한 중국 시장 개방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는 그가 주요 국제 경제 기구의 지도자들과 만났을 때 한 발언과 일치하며, ‘관세 전쟁과 기술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의 “미국 우선” 정책은 중국 당국에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미 어려운 경제 회복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는 취임 후 미국의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고, 선거 기간에는 6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또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고급 메모리 칩 및 반도체 제조 장비의 대중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해 중국은 다음 날 여러 희귀 자원의 수출 금지로 응수했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양측이 강력한 관세의 억압적 시행보다는 협상을 통해 타협을 시도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저항의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다소 경협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홍콩의 전문 투자은행인 찬송&코의 신 멍 이사는 “중국은 성장과 건설적인 무역 관계를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으나, 미국의 압박이 더해질 경우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취임식 초대에 대해 중국은 시 주석이 불친절하다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조율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지도자가 미국의 취임식에 참석한 전례는 없고, 주중 대사만이 참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 상대방과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유지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및 무역 관련 신임 관계자들과도 계속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러한 협력 의지가 곧 트럼프가 요구하는 양보를 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안에 따라 중국이 할 수 있는 한 가지 양보의 예로는 펜타닐 거래에 대한 stricter oversight 약속이 있을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은 이날 자국의 성장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확신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이러한 모든 상황 속에서 양국이 서로의 태도를 통해 협상 테이블에 나서길 기대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