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월 소매판매 3.7% 증가, 산업생산은 5.7% 증가…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해

[email protected]



중국의 7월 소매판매가 전년 대비 3.7% 증가하며 시장의 예상을 밑돌았다. 또한, 산업생산은 5.7% 증가했지만, 역시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제 성장은 정부 지원의 효과가 약해지면서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7% 증가했으나, 시장 예상치인 4.6%에는 미치지 않았다. 이는 폭염과 홍수와 같은 계절적 요인 외에도 이구환신 정책의 지원금 공백이 겹치면서 지난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게 된 결과로 분석된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과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에서의 판매 금액을 포함하며, 내수경기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산업생산 또한 전년 동기에 비해 5.7% 증가했지만, 예상치인 5.9%를 밑돌아 약세를 보였다. 1월부터 7월까지의 고정자산투자도 지난해 동기 대비 1.6%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인 2.7%를 하회했다. 이러한 통계들은 중국 경제의 회복이 순탄치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7월 도시 실업률은 평균 5.2%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이 통계는 중국의 대학 졸업 시즌과 같은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통계국은 이번 통계에서 “일부 지역에서의 고온과 홍수가 7월 경제 성장에 단기적인 타격을 주었으며, 경제 회복을 위한 더욱 강화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경제 데이터가 보여주는 급격한 소매판매 부진과 8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산업생산에 주목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경제는 현재 정부 지원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으며, 그 지원이 올해 초에 집중돼 있어 지금은 그 영향이 갈수록 흐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의 분석가들은 약한 국내 수요와 글로벌 리스크가 중국의 3분기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을 위한 대규모 조치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을 억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러한 경제 상황이 앞으로 중국 경제의 방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