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월 제조업 PMI 49.3…연속적인 경기 수축 이어가

[email protected]



중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3으로 집계되며, 이로써 넉 달 연속으로 수축 국면을 지속하게 되었다. 이는 지난 6월의 49.7에서 0.4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블룸버그와 로이터의 시장 예측치인 49.7을 하회한 결과이다. 이 수치는 지난 4월 이후 가장 낮은 값으로, 경제 회복에 대한 우려를 안겨주고 있다.

PMI는 기업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기반 지표로, 50 이상의 수치는 경기 확장을 의미하고, 그 이하의 수치는 경기 수축을 나타낸다. 이번 조사에서 비제조업 분야의 PMI 또한 50.1로 전월 50.5에서 하락 했으며, 이는 건설업과 서비스업의 경기 둔화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건설업 평가는 50.6으로 전월보다 2.2포인트 하락했으며, 서비스업 평가는 50.0으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자오칭허 고급통계사는 “7월은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비수기를 맞이하고, 폭염과 홍수 등 기상 이변이 발생함에 따라 제조업 경기가 악화되었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후적 요인 외에도, 미국과의 무역에서 부과된 관세가 중국 제조업체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고 있음을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타이달웨이브 솔루션의 캐머런 존슨 수석 파트너는 “중국의 제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날씨 악화와 함께 저렴한 관세를 적용받는 베트남 등 다른 국가로 일부 주문이 이전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협상이 이루어질 때까지 생산의 일부가 관세가 낮은 국가로 이전되는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상반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5.3%로 목표인 5%를 훌쩍 넘어섰으나, 하반기에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상황이 중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제조업의 수축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향후 경제 회복의 모멘텀을 찾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요구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