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앙화 거래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예치금이 680억 달러(약 94조 5,200억 원)를 넘어서며 역사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신호지만, 공급 증가율은 한층 둔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9개월 동안 스테이블코인 증가 규모는 11억 달러(약 1조 5,300억 원)에 그쳐, 과거의 활발한 성장세와 비교하면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크립토퀀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8월 22일 기준으로 USDT(테더)와 USDC(USD코인)가 각각 530억 달러(약 73조 6,500억 원)와 130억 달러(약 18조 700억 원)가 거래소에 예치되어 총 자산이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2월의 이전 최고치인 590억 달러(약 82조 2억 원)와 비교해도 크게 상승한 수치로, 2023년 10월의 최저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증가폭을 보였다.
이번 스테이블코인 유입 급증의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 유입된 약 280억 달러(약 38조 9,200억 원)의 자금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이 자금 유입이 새로운 투자자들의 진입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하며,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의 이면에는 공급 증가율 둔화라는 경고 신호가 존재한다. 2024년 말 이전에는 한 달에 약 40~80억 달러(약 5조 5,600억 원~11조 1,200억 원)가 유입되었던 반면, 최근 9개월 간에는 단 11억 달러로 감소했다. 이는 암호화폐 유동성을 둘러싼 시장 환경이 과거보다 덜 활발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테더의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높지만, 그 성장세 역시 점차 둔화되는 양상이다. 올해 들어 지난 60일 동안 USDT의 발행량은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 증가했으나, 2024년 연말까지의 목표치인 210억 달러(약 29조 1,900억 원) 증가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동평균치조차 하향세를 보이며 자금 유입 모멘텀의 둔화를 시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현재 스테이블코인 보유 수준이 시장에 긍정적인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공급 증가가 더 이상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가격 상승 여력은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재개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은 추가적인 강세 랠리로 이어질 가능성도 열려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