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증권업계가 호황을 누리면서 경영진의 보수가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6개월 만에 영업이사들이 수십억 원의 보수를 수령한 것이 두드러진다. 한국투자증권의 김남구 회장은 최근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7억 원의 보수를 기록했고, 두나무의 송치형 회장도 44억 원에 달하는 보수를 챙겼다. 이러한 경향은 전반적인 증시 상승과 맞물려 있으며, 경영자들이 실적에 맞춰 높은 보상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국투자증권의 김성환 사장은 상반기 보수로 25억978만 원을 수령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상반기 7억6778만 원에서 급등한 수치다. 이는 한국투자증권이 증권업계 최초로 상반기 영업이익 1조 원을 초과한 성과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 더불어 김남구 회장은 한국투자증권에서 45억5102만 원, 한국금융지주에서 11억8800만 원을 수령해 지난해 보수의 2배가량 증가하였다.
이외에도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지난해 14억1400만 원에서 2억 원 이상 증가한 16억7100만 원을 받았으며, 장원재 메리츠증권 대표도 약 14억9300만 원으로 보수가 증가했다. 미래에셋증권의 허선호 부회장과 김미섭 부회장도 각각 12억4500만 원, 14억3000만 원의 보수를 기록하며 작년 대비 두 배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EMIT 증권의 윤창식 영업이사는 올해 상반기 보수로 48억6283만 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전체 보수인 46억4000만 원을 이미 초과하였다. 부국증권의 진현수 차장 또한 25억6200만 원을 챙겨 작년 기록을 넘어섰다. 한편, 유안타증권의 이종석 이사는 지난해 상반기 44억3700만 원에서 올해 15억9400만 원으로 급감하며,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다.
4대 금융그룹의 수장 간의 보수에서도 차이가 뚜렷하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상반기 17억5000만 원을 수령하였으며, 이는 4억5000만 원의 급여와 13억 원의 상여금이 포함된 금액이다. 반면,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8억7100만 원,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7억6100만 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보상을 받았다. KB금융지주 양종희 회장은 급여 4억5000만 원에 단기성과급 2억 원만 반영되어 총 6억5000만 원에 그쳤다.
이와 같은 보수 증가는 증시의 상승세와 경영 성과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기업의 재무 실적 향상이 경영자 보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적으로 증시 호황 덕분에 증권사 경영진의 보수가 크게 증가하며, 이는 향후 경향을 주목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