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동안 암호화폐 산업에 총 10억8000만 달러의 벤처 자금이 유입되며, 투자 활동이 여전히 활발함을 나타냈다. 크립토랭크의 보고서에 따르면, 8월 18일부터 24일까지 총 28건의 투자 라운드가 진행되었고, 이는 직전 주(8월 11~17일) 대비 약간 증가한 수치이다. 그러나 투자 규모는 13억8000만 달러에서 10억8000만 달러로 줄어들며 조정세를 보였다.
특히, 테라울프는 상장 이후 채권 및 대출 방식을 통해 무려 8억5000만 달러를 조달해 가장 큰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 이어서 IVIX는 O.G. 벤처 파트너스로부터 6000만 달러의 시리즈B 투자를 받았으며, LM 펀딩도 2300만 달러를 확보하는 등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전략적 투자 라운드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가 있었다. DigiFT는 SBI 디지털 자산 홀딩스와의 협력으로 1100만 달러를 조달했으며, 코인텔은 아발란체 재단의 참여로 740만 달러의 전략적 투자를 마무리했다. 오버테이크와 디센트럴GPT는 각각 7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확보하여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M&A 역시 활발했다. 캐피털라이즈.ai는 크라켄에 인수되었고, 스테이크드 하이프는 발란티즈에게 인수되었으며, 포켓 유니버스는 케르베루스에 인수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플립은 NFT 마켓플레이스인 라리블에 합병되어 협업 생태계를 넓혔다.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들도 활발한 투자 유치를 이어갔다. 스플렌더는 화이트 락 그룹으로부터 450만 달러를 확보했으며, 스테이블스톡과 LO:TECH도 각각 초기 자금을 유치하였다. 또, 레기온과 Vaas는 각각 500만 달러와 37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시리즈A 라운드에서는 아이리스가 코인펀드 주도로 1000만 달러를, 블록 어너가 타이탄 펀드로부터 520만 달러를 조달하며 투자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LYS 랩스는 알케미와 스콧 무어의 참여로 각각 200만 달러의 시드와 앤젤 투자를 진행하여 연속적인 투자 라운드를 이어갔다.
그 외에도 캐피털 B는 257만 달러를 Post-IPO 방식으로 확보했으며, 임페리 디지털과 아책스도 각각 Post-IPO Debt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유치하였다.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o1.exchange에 약 420만 달러의 자금을 투자했다.
8월에 들어서며 암호화폐 업계는 현재까지 총 99건의 투자 라운드를 통해 34억6000만 달러를 유치하였다. 월간 벤처 투자 규모는 지난 5월 19억1000만 달러로 축소되었다가 6월 51억7000만 달러, 7월 65억8000만 달러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0일 간의 투자 활동 지수는 최근 12개월 평균 대비 1%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지만, 전주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여전히 ‘정상(Normal)’ 범주 안에 유지되고 있다. 30일 동안 138건의 투자 라운드가 집계되었으며, 총 투자 유치 규모는 80억 달러로 전월 대비 128.3%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평균 라운드 규모는 300만~1000만 달러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투자 활동이 이루어진 단계는 ‘시드(Seed)’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