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토랩스와 반에크, SEC에 솔라나 ETP의 유동성 스테이킹 도입 요청

[email protected]



솔라나(SOL) 인프라 업체인 지토랩스(Jito Labs)와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 비트와이즈(Bitwise)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솔라나 상장지수상품(ETP)에 유동성 스테이킹 기능을 도입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유동성 스테이킹은 투자자가 자신의 토큰을 검증자에게 맡기면서 동시에 파생 토큰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이를 통해 보유 자산이 잠기는 것이 아니라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유동화된 스테이킹 토큰(LST)은 일반 토큰과 같이 거래가 가능하며, 탈중앙화금융(디파이) 및 대출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스테이킹 방법에 비해 추가적인 리스크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부분이다. 이번 요청은 솔라나 정책연구소(Solana Policy Institute)와 멀티코인 캐피털(Multicoin Capital Management) 등과 협력하여 진행되었다. 이들은 유동성 스테이킹을 통해 자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해관계자들은 ETP 발행사가 자산의 특정 비율만을 스테이킹해야 할 경우, 대규모 매수 및 상환이 발생할 때마다 리밸런싱이 필요해져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추종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이때 유동화된 스테이킹 토큰(LST)을 활용할 경우, 신속한 리밸런싱이 가능하거나 지정 참가자(AP) 간의 현물 전환 방식으로 자산을 쉽게 수취 및 인도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 움직임은 솔라나 ETP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디지털 자산 외에도 다양한 자산이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 속에서, 유동성 스테이킹은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더욱 다양한 디지털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요청이 SEC에서 어떤 결정을 이끌어낼지 여부는 지켜봐야 할 일이다. 유동성 스테이킹이 솔라나 ETP 및 더 넓은 시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특히, 기술적 혁신과 함께 새로운 투자 방식이 오는 변화를 어떻게 촉진할지, 그리고 SEC의 반응이 어떤지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