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크래머, 트럼프의 중국 정책이 엔비디아와 애플에 미치는 영향 분석

[email protected]





CNBC의 짐 크래머는 최근 방송에서 그의 가장 선호하는 주식 중 두 가지인 엔비디아와 애플을 보유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주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강경한 상업 정책과 태도를 지적했다. 크래머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 우리의 정책은 중국과의 평화로운 공존 및 상거래였다”고 말하며 이제는 “군사적 대립 없이 초토화된 정책”으로 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주식 시장이 폭락하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48% 하락하고, S&P 500은 2.36% 감소했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2.55%의 하락폭을 보였다. 이러한 하락은 글로벌 무역 정책의 불안정함과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인 중국과의 긴장 상태가 계속해서 월스트리트를 괴롭힌 탓이다. 현재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4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중국 또한 미국산 상품에 대해 125%의 보복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크래머는 정부가 엔비디아와 애플에 대해 편향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엔비디아는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반도체를 설계하는 기업으로, 크래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가 중국으로의 제품 유출을 막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백악관은 중국을 차단하는 것에만 관심이 있고 우리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에는 무관심하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엔비디아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크래머는 애플이 무역 전쟁의 ‘화살받이’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애플은 중국에서 큰 매출을 올리며 많은 기술을 현지에서 제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백악관은 애플이 자사 제품을 미국에서 제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크래머는 이러한 태도가 애플이라는 회사를 제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현재 투자자들은 정부가 약화된 실적을 강제하는 기업인 엔비디아와 애플에 대해 투자하기를 꺼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NBC 투자 클럽의 자선 신탁을 위해 크래머는 이러한 주식의 일부를 줄인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가 더 나쁜 상황에서도 일부 가혹한 정책을 철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틀릴 수도 있으며 주식이 계속 하락할 수 있음을 인정했다. 크래머는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이 커서 엔비디아와 애플의 운명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 대통령과 관련된 어떤 것도 확정적이지 않다. 그는 강력한 애플이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국가의 이익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으며, 규칙을 준수하는 엔비디아를 지원할 가치를 발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시 말해, 그는 그가 변하지 않고 주식이 계속해서 타격을 받을 수도 있지 않냐면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미 행정부의 무역 정책과 기술 주식의 복잡한 상관관계를 다루며, 투자자들에게 향후 매매 전략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