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크레이머 ‘비트코인 반등’ 전망 직후 가격 하락…‘인버스 크레이머’ 현상 재조명

[email protected]



미국 경제 전문 방송 진행자인 짐 크레이머가 비트코인(BTC)에 대해 “오늘이 암호화폐의 반등 시점”이라고 밝힌 직후, 실제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에서 ‘인버스 크레이머(Inverse Cramer)’라는 별명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미국 현지 시각으로 22일, 짐 크레이머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가격 상승을 예고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때 비트코인의 가격은 10만 8,239달러(약 1억 5,050만 원)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발언이 전해진 지 불과 1시간도 지나지 않아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6,700달러(약 1억 4,826만 원)로 떨어지며 약 1.4%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는 대폭락이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단기적인 매수세가 부족했음을 의미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결코 예외적이지 않다. CNBC의 대표 진행자인 짐 크레이머가 특정 자산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할 경우, 그 자산의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인버스 크레이머’ 현상은 이미 많은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밈(Meme)으로 자리 잡았다. 이번 사례 역시 이 패턴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크레이머는 이러한 발언 외에도 2000년대의 닷컴버블과 현재 시장을 비교하며 “시장에는 레버리지와 유동성이 얇은 투기적 자산들이 많이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불안감을 주는 한편,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대한 모순적인 시사점을 남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크레이머의 발언을 즉각 반영하여 비트코인 가격은 반등하지 못하고 오히려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움직임이 단순한 일시적 조정인지, 아니면 정말로 약세 전환의 신호인지는 이후 며칠 간의 시장 흐름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지난 10월 10일 이후로 형성된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10만 7,800달러(약 1억 5,043만 원)를 지지선으로, 10만 8,200달러(약 1억 5,059만 원)를 저항선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날의 가격 하락은 비트코인이 주요 저항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부추기고 있다.

지금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짐 크레이머의 발언과 시장 반응의 시간 간격이 최소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인버스 크레이머’ 전략이 하나의 거래 전략으로 여겨질 만큼 시장에서 중요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암호화폐 시장에서 짐 크레이머의 의견은 단순한 개인의 견해를 넘어서 거래 심리의 바로미터로 기능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키워드: crypto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