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비정규직 비율 역대 최고…고용 불안정 심각

[email protected]



2030 청년세대의 비정규직 비율이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청년 고용의 불안정성이 심각해지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20·30대 임금 근로자 811만 명 중 257만 명이 비정규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비정규직 일자리의 증가가 결과적으로 청년들이 겨우 취업을 해도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만들고 있음을 나타낸다.

2015년에 비해 정규직 근로자는 612만8000명에서 554만1000명으로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은 44만5000명 증가해 청년 고용의 경직성이 더욱 두드러졌다. 특히, 비정규직 중 기간제 근로자의 수가 급증하며 고용 안정성이 더욱 악화되었다. 2015년에는 104만8000명이었던 기간제 근로자가 올해 159만 명으로 늘어났는데, 이는 같은 연령대 임금 근로자 중에서 비중도 12.7%에서 19.6%로 확대된 것이다.

이와 함께 청년층의 신규 일자리 수 역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2분기 30대 이하 임금 근로 일자리 수는 744만3000개였으며, 신규 채용 일자리는 240만8000개에 불과하다. 신규 채용 비율인 32.4%는 2018년 이후 2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아서 청년층의 일자리 여건이 남다르게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용 불안을 자각한 청년들은 ‘쉬었음 세대’로 내몰릴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이나 구직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를 의미하며, 최근 3분기 기준으로 20·30대 ‘쉬었음’ 인구가 73만6000명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과거 20년 이상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숫자이며, 청년들의 고용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정부도 이러한 고용 부진을 타계하기 위해 고용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최근 고용노동부와 관련 부처가 참여한 합동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면서 ‘쉬었음 및 구직 청년’을 위한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청년 고용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경제성장전략과 연계된 구체적인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정부는 AI 교육 및 직업훈련을 확대하고, AI 분야에서의 벤처 창업을 지원하여 청년층의 취업 기회를 늘려나가겠다는 전망을 전하고 있다. 지난 9월 발표된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통해 청년들의 일 경험을 보장하고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방침도 재천명된 상태다.

청년층의 고용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향후 한국 경제의 성장 가능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정성 또한 심화될 것이 우려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