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구직활동 없이 ‘그냥 쉬었다’고 응답한 청년이 5만 6000명이 증가해 총 46만 명에 이르렀다. 이는 경제 성장 둔화와 고용 시장의 위축이 이어지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들 중 약 30%는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는 이유로 비경제활동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청년층의 경우,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연령대에서 지난 1주일간 쉬었다고 응답한 인원이 46만명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5만 6000명이 늘어난 수치로, 만성적인 일자리 미스매칭이 엿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서 느끼는 불안감과 실직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는 가운데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지난 1년간 취업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비율도 줄어들었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416만명 중 1년 이내에 취업이나 창업을 원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10~20대에서 각각 0.4%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다른 연령대에서는 다른 요인, 즉 건강 문제로 쉬고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KDI는 최근 ’11월 경제동향’ 발표에서 내수 경제의 낮은 성장세를 언급하며, 건설투자의 위축이 내수 회복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상품 소비가 꾸준히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는 향후 내수 경제의 안정화에도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KDI의 분석에 따르면, 수출은 다소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경제 전반의 개선이 지체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가 상승하며, 이는 취약계층의 부채상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최근 발표된 ‘8월 비임금근로 부가조사’에서도 이런 경향이 드러난다. 도·소매업 분야의 비임금근로자 수가 지난해 8월에 비해 5만 4000명 감소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으로 인한 자영업 폐업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고용시장 위축과 청년층 간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는 향후 경제 회복의 큰 과제로 남아 있으며, 정부와 사회가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