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이널리시스 “정부가 회수 가능한 불법 암호화폐 규모 104조 원에 달해”

[email protected]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불법 활동과 연결된 암호화폐 자산의 규모가 750억 달러, 즉 약 104조 2,5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보고서는 정부가 법적 조치를 통해 이미 상당 규모의 암호화폐를 회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불법 단체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약 150억 달러(약 20조 8,500억 원)로, 나머지 600억 달러(약 83조 4,000억 원)가 이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지갑에 분산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다크넷 마켓의 운영자와 판매자들이 관리하는 암호화폐 자산이 약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범죄 조직과 사이버 범죄 집단이 여전히 퍼블릭 블록체인 상에서 상당량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으로 인해 범죄 수익을 이동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특정 자산의 회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신호로 분석된다.

체이널리시스는 암호화폐별 자산 보유 비율에 대한 분석도 공개했는데, 전체 불법 관련 자산의 약 75%가 비트코인(BTC)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스테이블코인의 비중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경향은 해킹, 금융 사기 등의 범죄 수익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여전히 활발히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정비와 정부의 주도적인 보유 정책이 중요한 시점에 도달한 현재, 이번 보고서는 블록체인 안에서 회수 가능한 자산 풀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첫 번째 사례로서 특히 의미가 깊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하며 정치권에서도 암호화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의 자산 회수 및 활용 전략이 새로운 정책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국, 체이널리시스의 보고서는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중앙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과 관련된 향후 변화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국내외 모든 투자자 및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