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링크(LINK)의 가격이 지난 2주 동안 50% 이상 급등하며, 실물자산(RWA) 토큰화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체인링크가 향후 몇 년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RWA 시장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마일스 도이처(Miles Deutscher)는 이번 사이클에서 체인링크가 가장 확실한 대형 코인 매수 기회로 부각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많은 투자자들이 체인링크의 잠재력을 간과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 플랫폼이 기관 자금 유입, 스테이블코인 증가, 그리고 RWA의 확산 등 시장의 구조적 변화의 중심에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실물자산 토큰화 시장은 250억 달러(약 34조 7,500억 원)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런 흐름은 미국 정부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도이처는 블랙록을 비롯한 주요 금융기관들이 기존 금융시장의 한계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토큰화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스트라이프와 서클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 중이라는 점은 기관들이 웹3 기술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었다.
체인링크의 경쟁력은 매우 분명하다. 이더리움(ETH) 기반의 오라클 시장에서 체인링크는 8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디파이 생태계에서는 6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체인링크가 가격 정보 제공에 있어 ‘표준’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분산된 멀티체인 생태계에서 정보를 연결하기 위한 ‘유니버설 트랜슬레이터’가 필요하며, 체인링크가 그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또한 도이처는 체인링크의 토크노믹스가 ‘채택 → 매수 압력 → 추가 공급 유입’이라는 플라이휠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전통 금융(TradFi)과 디파이(DeFi) 모두에서 체인링크의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LINK 토큰이 더 많은 준비금으로 흡수될 것임을 시사한다.
현재 LINK는 24달러(약 3만 3,360원)로 상승하였고, 이는 2주 전 대비 50% 이상 오른 수치다. 온체인 분석업체 샌티먼트는 최근 8개월 가운데 가장 활발한 주소 활동과 7개월 만에 최대의 고래 거래가 발생한 점을 주목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LINK의 가격이 향후 100달러 이상의 세 자릿수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쳤지만, 여전히 2021년 5월 기록한 최고가 52.70달러(약 7만 3,230원) 대비 55%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각 시장마다 주도적인 레이어1 블록체인이나 RWA 기반의 디앱이 다를 수 있지만, 이는 결국 체인링크라는 인프라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하며 ‘스마트 오라클 시대의 필수 벤처’로 재조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