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ADA)가 최근 단기 상승세를 보이며 $0.90(약 1,251원)을 목표로 하던 중, 예기치 못한 시장 급변동으로 롱포지션 청산이 18,261% 폭증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특히 롱포지션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겪으면서 시장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카르다노의 롱포지션 청산 규모는 약 112만 달러(약 15억 5,680만 원)에 달해, 기대했던 상승세와는 정반대로 가격이 $0.80(약 1,112원) 아래로 하락하게 되면서 청산이 본격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시스템 리스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보도 시간에 카르다노의 가격은 $0.7888(약 1,096원)으로, 24시간 전 대비 0.55% 소폭 하락한 상태였다. 일중 고점인 $0.8322(약 1,157원)에서 하락세를 보였으며, 상대강도지수(RSI)가 58.41로 과매수 구간에는 미치지 않는 상황이었다. 이는 기술적인 피로감보다는 외부적인 매도 압력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흥미롭게도 숏포지션 또한 일부 손실을 보였지만, 그 청산 규모는 6,100달러(약 850만 원)에 불과했다. 이는 투자심리가 롱포지션 쏠림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8일 기준 카르다노가 $1 돌파를 눈앞에 두고 후퇴하게 만든 요인과도 맞닿아 있다. 그때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섰고, 이에 따라 변동성이 다시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카르다노의 창립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은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플랫폼의 유기적 성장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최근의 인터뷰에서 “느린 움직임이 오히려 대량 유입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으며, 카르다노는 마케팅보다는 커뮤니티 기반의 자연스러운 채택을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ADA의 기술적 반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기준으로 카르다노의 거래량은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 수준으로, 시장에 대한 관심도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1 저항선을 돌파할 수 있을지는 추가 매수와 시장 외부 변수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