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ADA), 약세 속 반등 가능성과 ETF 기대감으로 주목받다

[email protected]



카르다노(ADA)는 최근 일주일 동안 6% 하락하면서 단기적인 약세를 보였으나, 연율 수익률은 159%에 달해 여전히 긍정적인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상반된 시각을 보이고 있으며, 분석가들 사이에서도 서로 다른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일부는 곰시장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반면, 다른 이들은 상승 반전의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

시장 분석 기관 샌티먼트(Santiment)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에이다에 대한 비관적 태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특히 메이저 투자자인 고래들의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는데, 샌티먼트는 “지난 5개월 간 최저치에 달한 투자 심리 속에서도 에이다의 가격이 오히려 5% 상승했다”며 현재의 조정세를 기회로 해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차트 분석가들 사이의 의견은 갈리고 있다. 한 전문가는 에이다가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형성하고 있어 상승 전환의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전문가는 카르다노가 과거 몇 년간 주요 알트코인 대비 저조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단기적인 가격 예측으로는 지원선이 0.70~0.77달러(약 971원~1,070원), 저항선이 0.90~1.00달러(약 1,251원~1,390원)으로 설정되고 있다.

개발 측면에서 카르다노 재단의 새로운 프로젝트는 흥미롭다. 재단은 탈중앙화 전자책 플랫폼 ‘Book.io’와 협력하여 토큰화된 e북을 선보이기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탈중앙화 암호화 자산(DEA, Decentralized Encrypted Assets)’로, 사용자가 디지털 도서를 보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난 1월 실시된 시범 프로젝트에서는 2,000권의 e북 ‘I Can Aiken’이 배포되었으며, 이는 지식재산권과 로열티 유통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관 투자자들의 관점에서는 에이다 ETF와 관련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최대 디지털 자산 운용사인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위한 에이다 ETF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상황이다. 결정 마감일은 오는 10월 26일로 다가오고 있으며,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는 승인 가능성이 87%에 이를 정도로 높아졌다. 이는 6월 하락장 당시 기록했던 60%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수치이다.

한편, 카르다노(ADA)의 공동 창립자인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에 대한 오래된 의혹이 이번 주 공식적으로 해소되었다. 2015년에서 2017년 사이 아시아 지역에서 판매된 ‘에이다 바우처’를 둘러싼 음모론에 대해, 법무법인 맥더못 윌&슐트(McDermott Will & Schulte)와 회계법인 BDO가 18건의 인터뷰와 온체인 포렌식 분석을 통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99.7%의 바우처가 정식으로 사용되었으며 위법 행위가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에이다는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과 심리적 위축 속에서도 내부 개발 진전과 제도권 진입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실사용 사례의 확대와 ETF에 대한 기대 심리가 조화를 이루며 향후 반등의 모멘텀을 만들어낼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