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솔라나 기반의 국가 스테이블코인 ‘KZTE’를 출시하며 마스터카드와 연결

[email protected]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이 자국 통화에 연동된 국가 스테이블코인 ‘KZTE’를 공식 출시하며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장을 위한 시범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솔라나(SOL) 블록체인 기술과 마스터카드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암호자산과 기존 금융 시스템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6월 4일(현지시간) 디지털 자산 규제 샌드박스(Digital Assets Regulatory Sandbox) 내에서 Evo(KZTE)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을 승인했다고 밝혔으며, 이 코인은 카자흐스탄의 법정 통화인 텡게(KZT)와 1:1로 연동된다. 스테이블코인은 샌드박스 참여 기업인 인테빅스(Intebix) 암호화폐 거래소와 유라시아은행이 공동으로 발행하며, 솔라나와 마스터카드는 이 과정에서 각각 기술 및 결제 인프라 지원을 맡고 있다.

Evo 스테이블코인은 곧바로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구현되며, 마스터카드는 KZTE를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테빅스의 창립자 탈갓 도사노프(Talgat Dossanov)는 “KZTE는 현지 통화와 암호자산 간의 결제 및 송금 솔루션을 제공하는 첫걸음”이라며 “마스터카드와의 협업은 국제 시장 접근에 중대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금융 시장과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는 국가 차원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활용 분야로는 스마트폰 기반의 암호화폐-법정화폐 환전, 크립토 카드 결제, 그리고 온라인 결제 및 송금 서비스가 포함될 예정이다. 더불어, KZTE는 카자흐스탄 정부의 디지털 경제 전략과 연계되어, 국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카자흐스탄의 정부는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확산시켜 블록체인과 관련된 혁신 기술을 수용하는 공격적인 로드맵을 설정해왔다. 중앙은행 측은 “이번 프로젝트가 국경을 넘어 디지털 금융 혁신의 파일럿 사례가 되며, 향후 국제 협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카자흐스탄의 노력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자흐스탄이 추진하는 KZTE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을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경제 구도를 창출하려는 의지를 체현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향후 디지털 금융의 발전 방향에 대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