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조직 프린스 그룹, 미국과 영국의 대규모 제재를 받다

[email protected]



미국과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의 범죄 조직인 프린스 그룹을 초국가적 범죄조직(TCO)으로 지정하고 대규모 제재를 단행했다. 이들은 한국인을 타겟으로 한 인신매매, 납치, 꼼꼼한 범죄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이로 인해 캄보디아의 범죄 상황이 심각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미 재무부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프린스 그룹을 ‘돼지 도살(Pig Butchering)’ 사기와 관련된 의혹으로 지정하고, 약 21조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압수하는 등 사상 최대의 제재 조치를 부과했다.

프린스 그룹의 핵심 인물인 천즈 회장은 1987년 출생으로, 중국 푸젠성 출신의 캄보디아 이민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프린스 홀딩 그룹과 프린스 환위 부동산을 직접 관리하며 캄보디아의 주요 은행인 프린스 은행의 주주이기도 하다. 이번 제재에서는 그 외에도 9명의 주요 인물과 118개의 관련 법인이 블랙리스트에 올라, 이들이 어떻게 범죄와 부정한 사업을 통해 국가와 국제 사회를 속여왔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프린스 그룹은 주로 ‘돼지 도살’이라고 불리는 로맨스 기반의 투자 사기를 주 수익원으로 삼고 있었다. 피해자와의 신뢰를 쌓은 후에 가짜 암호화폐 투자 플랫폼을 통해 자금을 빼앗고, 이 과정에서 동남아시아의 취업 사기 피해자들을 활용해 강제노동과 고문을 일삼은 혐의가 있다. 이들은 이로 얻은 범죄 수익을 비트코인, 테더 등의 가상자산으로 변환 후, 해외의 유령회사들Through offshore shell companies in BVI, Cayman Islands, Singapore, and other tax havens to launder money.

이번 제재의 가장 큰 파장은 프린스 은행의 급격한 몰락으로 이어졌다. 이 은행은 범죄 수익을 세탁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으며, 미국의 제재가 발효되면서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했다. 그 결과, 캄보디아에서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하며 ‘뱅크런’이 현실화되었다. 미 재무부는 빠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11월 13일까지 거래 정리 기간을 부여했지만, 금융 전문가들은 이 유예가 오히려 사망 선고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프린스 그룹의 문제는 범죄와 불법이 얽힌 이 복잡한 네트워크가 어떻게 국제 금융 시스템에 기생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캄보디아의 범죄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며, 국제사회도 이러한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