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 정부가 한국인 청년들을 사망에 이르게 한 캄보디아의 취업사기 범죄조직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단행했다. 이들은 청년들을 “월급 500 보장”이라는 유혹으로 끌어들여, 결국 감금과 사망이라는 비극을 초래한 범죄조직이다. 미국 법무부는 14일(현지시간) 프린스홀딩그룹이 보유한 비트코인 12만7271개를 압류하는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압류액은 약 150억 달러, 즉 한화 약 20조원에 달하며, 이는 미 법무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산 몰수 조치로 기록된다.
캄보디아의 범죄조직은 자금세탁과 수익 은닉을 위해 대규모 비트코인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돼지도살’이라는 방식으로 암호화폐 투자사기와 로맨스 스캠 등의 범죄를 주도해왔다. 주요 인물인 천즈(영어명 빈센트)는 1987년생 중국 출신 사업가로, 프린스홀딩그룹의 회장으로 활동하며 현지 정부와의 관계를 통해 막강한 권력을 누리고 있다. 그는 캠보디아의 카지노와 부동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범죄조직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관련 당국은 천즈와 그의 관련 기업들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은 두 나라의 금융 시스템에서 완전히 배제될 예정이다. 이들 범죄조직의 구체적인 활동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위치한 ‘골든 포춘 과학기술단지’에서 이루어지며, 피해자들은 3m 높이의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감금된 채 사이버 범죄를 강요받고 있다는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제재 조치에 따라 천즈를 포함한 관련자들은 영국과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될 전망이며, 이는 그들이 운영하는 카지노와 호텔 등의 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천즈에 대해 유죄 판결이 날 경우, 몰수된 비트코인은 미국 국고에 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의해 설정된 ‘국가전략비축’ 자산에 편입될 수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취업사기가 아닌, 범죄조직이 청년들에게 초래한 장기적인 위험을 시사하며, 양국 정부가 협력하여 범죄를 근절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