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피해자 A씨는 캄보디아의 범죄단지에서 탈출한 후, 프놈펜에 위치한 한국 대사관 앞에서 12시간 넘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대사관 측의 거부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극히 절박한 상황에서도 대사관이 근무 시간 전이라는 이유로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A씨는 4월 새벽 6시에 대사관에 도착했으나 대사관 측은 “오전 8시에 문을 엽니다”라며 그를 외면했다. 대사관 앞에서 A씨는 “들어갈 수 없나요?”, “주차장이라도 좋으니 머무르게 해달라”는 등의 요청을 하며 도움을 애원했지만, 결국 문은 열리지 않았다.
그는 범죄단지에서 탈출하기 전 날부터 구조를 요청했으나, 이에 대한 응답은 없었다. A씨는 캄보디아에서 투자 목적으로 방문했으나 불법 감금과 폭행에 시달렸고, 3000만 원 상당의 금품을 요구받는 등 생명의 위협에 내몰리게 되었다.
탈출 시도 직전에는 이동 경로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휴대전화에 남겼으나 대사관 측에서 요구한 사진과 정확한 위치를 전달하지 못하여 지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A씨는 “감금 상태에서 사진을 찍는 것은 커녕 외부와의 소통이 차단됐다”고 고백했다.
또한, 가족이 한국 경찰에 신고했으나 해당 수사기관은 신뢰할 수 없는 정보라는 판단 아래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A씨는 범죄단지의 뒷문을 넘어 탈출에 성공했으며, 히치하이킹으로 프놈펜에 도착하기까지 손에 땀을 쥐는 경험을 했다. 그 과정 중 위험을 피하고자 풀숲에 숨어있으면서도 SNS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는 등 절박한 상황을 반영했다.
프놈펜 도착 후, 대사관의 문이 열리자 A씨는 이웃 상점에서 시간을 보내고 현지 주민과 접촉해 대사관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는 대사관의 대응에 대해 깊은 실망감을 드러내며, “대사관 앞에서 문을 열어주지 않아 다시 잡힐까 두려워 떨었다”고 털어놓았다.
이번 사건은 해외 체류 국민의 안전과 재외 공관의 대응 체계 문제를 심각하게 부각시킨 사례로 남았다. A씨처럼 어려운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국민들이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