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프린스그룹, 미국·영국 제재 후 뱅크런 사태 발생…중앙은행 긴급 개입

[email protected]



캄보디아의 프린스그룹이 미국과 영국의 제재로 인해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지정된 직후,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프린스 은행에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인 뱅크런이 발생했다. 이번 사태는 17일부터 시작되어, 고객들이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은행 지점에 몰려드는 상황이 연출됐다.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은 이러한 금융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 19일 긴급 공지문을 발표하고, 예금자 보호 조치를 시행하며 무제한 유동성 지원을 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최근 프린스그룹 경영진이 연루된 사기 및 범죄 스캔들로 인해 대중의 신뢰가 크게 하락했음을 반영하는 조치이다.

뱅크런의 주된 원인은 지난 14일 미국과 영국의 초강력 제재 발표였다. 미국 법무부와 재무부는 프린스그룹과 그 회장인 천즈(Chen Zhi)가 범죄 조직으로 지정되었으며, 그가 관련된 암호화폐 사기 및 인신매매, 강제 노동, 자금 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천즈 회장은 불법적으로 취득한 약 150억 달러(약 21조 원) 규모의 비트코인에 대한 몰수 소송도 진행 중이다. 현지에서는 그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조차 확인되지 않는 상황이다.

중앙은행은 “고객의 모든 인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이 있다”며 금융 시스템이 마비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즉각적인 개입은 중앙은행의 지급 보증을 의미하며, 캄보디아는 아세안(+3) 국가 중에서도 예금보험제도가 없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기에 더욱 중요하다. NBC는 “대중과 고객, 특히 프린스그룹 계열 은행의 고객들에게 예금에 대한 걱정을 하지 말고 침착함을 유지하라”고도 강조했다.

프린스그룹의 범죄 활동은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현지에서 운영되는 ‘태자 단지’는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들을 감금해 보이스피싱과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거점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실제로 뱅크런이 발생한 17일에는 이 단지와 연결된 사기 조직에 연루된 한국인들이 송환되기도 했다.

이번 사태는 캄보디아 경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위해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중앙은행의 조치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와 연결된 불확실한 금융 생태계를 진정시키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