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스그룹의 회장 천즈의 자산이 약 600억 달러, 즉 88조원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중남미의 마약왕들과 맞먹는 규모로 평가되며, 천즈는 캄보디아 정부 및 중국 정보 기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더타임스는 최근 기사를 통해 천즈가 범죄 단지의 배후로 지목되었으며, 그의 최대 수입원은 온라인 사기 센터에 의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캄보디아에는 최소 10개의 사기 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거기에는 인신매매된 노동자들이 고용되어 전화나 소셜미디어를 통해 강제로 사기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불법 활동을 통해 프린스그룹은 상당한 수익을 창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재무부는 최근 프린스그룹과 관련된 범죄 행위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며, 약 130억 달러(약 19조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수했다고 전했다. 내부 고발자인 싱가포르 출신 클리프 테오는 천즈가 자산 규모에 대해 순자산이 600억 달러라고 직접 언급했다고 밝혀 더욱 توجه를 받고 있다.
더타임스는 천즈와 중국 정보 당국의 관계가 201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사이에 천즈는 프놈펜에 클럽을 운영해 중국 공안부 관리들을 초대하여 특혜를 제공하는 등 특별한 관계를 형성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 관계는 유지되지 않았고, 2020년에는 중국 경찰이 프린스그룹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천즈는 국제 사회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미국 혹은 영국으로 눈을 돌렸고, 영국에서의 투자 비자 경로를 통해 가족과 함께 런던에 입국하여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과정에서 그는 9400만 파운드(약 1812억원)를 투자하여 사무실 건물을 구입하고, 추가적으로 1200만 파운드(약 231억원)를 저택 구매와 개조에 사용했다고 한다.
프린스그룹 측은 이러한 범죄 연루 의혹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그룹과 천 회장이 불법 활동에 연루되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혐의는 근거 없는 주장으로, 불법 자산 압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이번 사건은 국제 사회에서 캄보디아와 관련된 범죄와 범죄조직의 문제를 다시금 조명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진상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범죄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