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가 미국으로부터 35%라는 높은 세율의 관세 폭탄을 맞으면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크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 시간)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기존의 25% 관세를 3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 국민들 사이에서는 응징의 일환으로 미국 제품을 배척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캐나다의 CBC 방송은 이 같은 무역전쟁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을 조명하며, 많은 캐나다인들이 국산 제품 구매를 늘리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식료품 매장에서는 제품 원산지를 확인하는 것이 일상화되었으며, ‘미국산이 아닌 다른 제품이면 괜찮다’는 태도가 퍼져가는 추세다. 이는 단순한 소비 행태의 변화가 아니라, 국민들의 경제적 자립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많은 캐나다인들이 미국 내 자산이나 투자금을 본국으로 돌리거나, 미국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겨울철에 미국에 장기 체류하는 관광 및 휴양 형태인 ‘스노버드’ 여행을 중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보복이 가져온 상징적인 행동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캐나다 내의 경제 지형은 점차 변화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 정책 또한 이에 발맞추어 방향을 조정할 필요성이 커질 전망이다. 캐나다의 대미 의존도가 높은 현 상황에서 이러한 불매 운동이 실제로 미국 기업들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은 단순히 관세 인상으로 그치지 않고, 양국 간의 경제적 관계에 깊은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반면, 캐나다 정부는 이러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으며,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
이렇듯 캐나다의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은 단순한 소비 패턴의 변화 이상으로, 경제적 자주성을 찾기 위한 사회적 저항의 일환으로 평가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시민 활동과 여론이 어떻게 진행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