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의 최측근인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31)가 총격으로 사망한 이후, 그의 사망 직후 착용했던 ‘FREEDOM’ 문구가 적힌 티셔츠가 온라인에서 빠른 시일 내에 상품화되면서 뜨거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커크는 유타주 유타밸리대학교에서 모자를 나누고 있는 모습으로 대중에게 알려졌으나, 연설 도중 총격을 받아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뉴스위크 등 외신에 따르면, 커크가 피살된 당일, 불과 몇 시간 만에 주문형 인쇄 플랫폼 엣시와 틱톡 숍에는 그의 티셔츠와 유사한 디자인이 줄을 지어 등록되었다. 이 흰색 티셔츠는 ‘FREEDOM(자유)’이라는 문구가 대담하게 가슴에 새겨져 있으며, 일부 온라인 상점에서는 약 39.95달러(한화 약 5만5000원)로 판매되고 있다. 판매자들은 이 티셔츠가 출시 직후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고 전하며, 급히 디자인 팀이 모여 추모 컬렉션을 제작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 ‘라이프스 어 스티치’의 공동 소유주 제시카 피터스는 고객들의 요청이 이어지는 가운데, 디자인을 일부 수정한 버전의 티셔츠를 출시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면서, 수익금 전액을 기부할 계획임을 밝혀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티셔츠 상업화가 진정한 추모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우파 인플루언서인 예후다 레머는 “커크를 진정으로 기리고 싶다면 그의 아내 에리카 커크 운영의 의류 브랜드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하며, 정치적 비극을 기회로 삼는 상업화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비극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는 행태”라는 부정적인 반응과 “추모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는 옹호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비극의 상품화 현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7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선후보가 총격을 당했을 때에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했으며, 그로 인해 온라인 정치 굿즈 시장이 더욱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상업화를 둘러싼 논란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정치적 사건이 개인의 비극을 넘어 경제적 기회로 작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커크를 잃은 애도와 그의 죽음을 둘러싼 정치적 상황은 상업화 논란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