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송금 실증 프로젝트 성공적으로 완료

[email protected]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일본과 협력하여 진행한 한일 공동 해외송금 기술 검증 프로젝트가 1단계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프로젝트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해외송금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양국 간 자금 이동의 원활한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9월 16일 케이뱅크는 ‘팍스프로젝트’의 첫 번째 검증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원화와 엔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송금 서비스를 시험하였으며, 한국에서 원화를 스테이블코인으로 변환해 블록체인을 통해 일본으로 전송한 후, 다시 이를 엔화로 환전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이번 실험은 케이뱅크 외에도 신한은행, NH농협은행, 핀테크 기업 페어스퀘어랩,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 등 여러 기관이 참여하였고, 일본 측에는 일본상공조합중앙금고, 디지털 인프라 기업 프로그맷, 블록체인 기술업체 데이터체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도쿄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종료 보고회에서 그간의 추진 과정을 상세히 공유하였다.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금융 규제와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며, 이와 함께 시스템의 안정성과 실무 연동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특히 강조된 부분은 금융기관 간의 효율적인 연동을 위해 개발된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개방형 구조가 설계됨으로써 앞으로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제2금융권과 일반 기업까지도 송금 인프라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기술적 기초가 단순 송금을 넘어 금융 생태계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기관들은 이러한 가능성에 기반하여 다음 단계의 검증에 돌입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네트워크와의 실시간 연동을 도모하고, 양국 화폐를 동시 교환하여 송금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지급 동시 결제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소액송금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 사례의 확대 방안도 중점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송금이 더욱 본격화될 가능성을 암시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빨라지고 저비용의 송금 인프라가 기존의 SWIFT망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는 규제 체계의 정비와 금융기관 간 협력의 확대 등의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