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리서치센터, 무기한 선물 보고서 공개…국내 파생상품 제도화 필요성 강조

[email protected]



국내 최초의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빗(대표 오세진) 산하의 코빗 리서치센터가 가상자산 파생상품 도입의 필요성을 다룬 보고서 ‘무기한 선물: 가상자산 파생상품 시장의 중심’을 11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무기한 선물(Perpetual Futures)의 구조와 글로벌 시장 동향을 심층 분석하고, 국내 가상자산 파생상품 도입에 대한 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무기한 선물은 전통적인 선물 계약의 만기 구조를 없애고, 펀딩비(Funding Fee) 메커니즘을 통해 현물과 선물 간 가격 차이를 조정하는 파생상품으로, 현재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전체 거래량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무기한 선물 거래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보고서의 분석이 있다.

최근 관찰된 글로벌 무기한 선물 시장의 동향에 따르면, 거래량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의 미결제약정 규모는 전통 금융기관들이 제공하는 CME 비트코인 선물의 두 배 이상에 이르는 수준으로, 이는 무기한 선물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얼마나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파생상품 제도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이들은 파생상품의 정의를 새롭게 정립하고, 기초자산의 범위를 확대하여 가상자산을 제도권 투자 대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해외 거래소에 집중되고 있는 파생상품 수요를 국내로 환류시켜, 국내 시장의 유동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정지성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위원은 “가상자산 파생상품은 현물과 선물 간 차익거래를 통해 시장의 가격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에게는 가격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리스크 헤지 수단을 제공한다”며 “무기한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을 국내 법제 내에서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높일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국내 투자자들이 안정적으로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