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09/Kr.png)
코스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큰 하락 없이 2520대를 유지하며 마감했다. 10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0.65포인트(0.03%) 내린 2521.27에 거래를 종료했다. 이날 지수는 11.28포인트(0.45%) 떨어진 2510.64에 개장하며 장 초반 관세 우려로 2500선을 내주었으나, 이후 시장이 이슈를 소화하면서 보합권으로 회복했다.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한국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장의 예측이 반영되었다.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트럼프의 조치가 결국 협상 도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 것으로 해석된다. 여러 고위 행정부 인사들이 대중 강경 정책을 언급하고 있지만, 관세가 협상의 카드로 사용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 계속해서 입을 모으고 있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이번 관세 조치가 유럽산 자동차와 철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것이라며, 코스피가 관세 문제를 소화하며 오후 들어 하락폭을 만회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기계, 음식료·담배(0.06%), 섬유·의류(0.73%), 화학(0.63%), 건설(0.01%), 부동산(0.37%) 등이 상승세를 보인 반면, 제약(-1.33%), 비금속(-0.34%), 금속(-1.21%), 기계장비(-1.94%)는 하락세를 겪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40억원, 2772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은 2669억원을 순매수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삼성전자(3.45%)와 LG에너지솔루션(3.13%)이 비교적 강세를 보였고, NAVER(0.89%)도 상승했다. 그러나 SK하이닉스(-2.41%)와 삼성바이오로직스(-2.59%), 현대차(-0.55%)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종은 ‘관세 한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주도 업종으로 부각되었다. 우언식 국회의장이 시진핑 주석과의 만남에서 한한령 해제를 언급한 것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에스엠(7.2%), 하이브(2.6%), 스튜디오드래곤(6.7%) 등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현대제철(-2.0%), 세아베스틸지주(-3.8%), POSCO홀딩스(-1.1%) 등의 철강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코스닥 역시 전일 대비 6.77포인트(0.91%) 오른 749.67로 마감했다. 개인 투자자는 1331억원을 순매수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인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68억원, 19억원씩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 중 HLB(-1.70%)와 레인보우로보틱스(-8.16%) 등은 약세를 보였고, 리노공업(5.10%)과 휴젤(2.99%)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전일 대비 3.4원 하락한 1451.2원에 장을 마쳤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