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에서 대형 고래가 하루 사이에 시바이누(SHIB) 토큰 1,323억 개를 인출한 사실이 알려지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에 따르면, 해당 고래의 지갑 주소는 세 번의 거래를 통해 SHIB 토큰을 분산 수령하며 총 거래 규모는 약 166만 달러(약 23억 7,0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거래 중 가장 큰 단일 거래는 보도 직전 시점에 발생해 737억 개의 SHIB가 한 번에 이동됐다. 이 금액은 약 92만 8,000달러(약 12억 9,000만 원)에 해당한다. 주목할 점은 이 고래 주소가 하루 전에도 195억 개의 SHIB(약 2억 4,100만 원)를 받은 뒤, 즉시 395억 개(약 6억 8,900만 원)를 추가로 매집한 사실이다. 모든 거래는 코인베이스의 핫월렛에서 이루어졌으며, 수령한 주소는 지금까지 어떠한 토큰도 재이동시키지 않아 장기 보유 의도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대량 인출은 시바이누의 가격이 오랜 시간 동안 수평 박스권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현재 SHIB는 바이낸스에서 0.0000125달러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여름 내내 0.0000100달러에서 0.0000150달러 사이의 가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거래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가격 하단에는 탄탄한 매수세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고래가 시장에 진입한 시점과 관련해 중요하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를 ‘전형적인 수렴 구간에서의 기관성 매집’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이후 SHIB의 기반 가격은 유지되면서도 고점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이러한 대량 매집은 여전히 시장에 유동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된다. 디파이(DeFi) 및 밈코인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상황에서 특정 코인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상황은 드문 현상이다.
그러나 이 고래가 추가 매수 세력을 지속할지, 아니면 적절한 시점에서 다시 시장에 물량을 되팔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한편, 개인 투자자 중심의 거래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이처럼 고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시바이누의 시장 내 유효성 평가가 여전히 긍정적임을 나타낸다. 종합적으로 볼 때, SHIB는 여전히 주목받는 밈코인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