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Coinbase)가 개발자들을 위한 새로운 지갑 온보딩 도구인 ‘임베디드 월렛(Embedded Wallets)’을 공개했다. 이는 최근 미국에서 자산의 자기 보관(self-custody)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친(親) 암호화폐 법안이 통과되면서 생긴 기술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이번 임베디드 월렛 툴은 코인베이스의 개발자 플랫폼인 ‘CDP(Coinbase Developer Platform)’를 통해 제공된다. 해당 도구는 코인베이스가 개발 중인 탈중앙화 거래소 인프라와 동일한 기술로 구성되어 있어, 개발자들이 복잡한 설정 없이도 사용자 친화적인 지갑을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툴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USD코인(USDC)을 보유할 경우 연간 4.1%의 이자 수익(APY)을 즉시 얻을 수 있다. 이 이자는 별도의 스테이킹 과정 없이 즉시 적용되며, 개발자에게는 이자 수익을 사용자에게 배분하거나 직접 수익화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USDC는 서클(Circle)이 발행한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안정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코인베이스는 이번 임베디드 월렛 툴을 디파이(DeFi), 게임, 결제, 웹3 기반 SNS 등 다양한 분야의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최근 자사의 기존 지갑 서비스를 일원화한 ‘올인원 앱’으로 통합하고,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에 기반하여 ‘Base 앱’으로 리브랜딩한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암호화폐 우호적 정책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규제 명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기주권 지갑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상황에서 코인베이스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핵심 인프라 종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번 임베디드 월렛 공개는 코인베이스가 지속적으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암호화폐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