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방송 당국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의 광고 ‘Everything Is Fine’의 방영을 금지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코인베이스의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은 이 검열이 전통 금융 시스템의 문제를 노출한다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박했다.
이번 논란의 중심이 된 광고는 7월 31일 코인베이스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공개되었다. 광고는 경쾌한 음악과 함께 “우린 아무 문제 없어요, 불평할 이유도 없죠”라는 가사로 시작하나, 동시에 화면에는 노후한 주택과 쓰레기 더미, 극심한 빈곤을 겪고 있는 영국 사회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 광고는 유머와 풍자를 교차시키면서도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생활비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영국인의 일상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8월 4일, 암스트롱은 해당 광고가 영국 방송사로부터 금지당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광고가 전하는 메시지가 불편할 수 있어도 진실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검열을 비판했다. 암스트롱은 “말할 수 없다면, 그 안에 진실이 담겨 있다는 뜻”이라며 검열을 강하게 반대했다.
일각에서는 이 광고가 특정 정당을 겨냥한 정치적 메시지라며 비난했지만, 암스트롱은 이를 단호히 부인했다. 그는 이 광고가 특정 정부나 국가가 아닌,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구식 금융 시스템’에 대한 비판임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미국에서도 유사한 광고를 진행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글로벌한 문제에 대한 통찰로 이해해주기를 요청했다.
더불어 암스트롱은 일부 영국인들이 암호화폐를 도박 상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현실과 동떨어진 낡은 시각이라고 주장하며, 암호화폐가 전통 금융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검열과 비판이 오히려 광고의 확산을 촉진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광고는 영국 사회의 경제적 불안정성을 직접적으로 겨냥했다. 공정금융단체인 Fair4All Finance의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성인의 44%인 약 2030만 명이 재정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으며, 이는 2022년 대비 16% 증가한 수치다. 주요 원인으로는 불안정한 소득 구조, 낮은 저축률, 건강 문제, 실직 등이 있다.
그러나 영국 내에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가 여전히 불확실하다. 정책 싱크탱크 OMFIF는 영국 정부가 구체적인 규제 마련을 계속해서 미루고 있으며, 그 결과 미국이나 EU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을 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 보호와 산업 성장 모두에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이 사건은 단순한 광고 금지 문제를 넘어, 암호화폐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암스트롱은 “기득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현실에서 우리는 새로운 대안을 이야기할 시간”이라며, 암호화폐가 그 해답일 수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어떻게 암호화폐가 전통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해 나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