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웹3 프로젝트의 온보딩을 위한 종합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타이거리서치(Tiger Research)가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리퀴파이(Liquifi)와 에코(Echo)를 인수하고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베이스(Base)를 도입하여 웹3 생태계의 완성형 인프라를 구축할 전략을 취하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기존의 암호화폐 거래소 역할를 넘어서, 커스터디 서비스, 결제 인프라, 블록체인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웹3 기반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리퀴파이와 에코의 인수를 통해 토큰 발행 및 자금 조달, 상장 과정을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하려고 한다. 타이거리서치에 따르면, 이 접근법은 코인베이스가 ‘온보딩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베이스 체인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리퀴파이는 프로젝트 설립부터 토큰 생성, 베스팅, 에어드랍, 거버넌스 설정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법률 및 회계 자문과 스마트 계약의 조건 변경, 자동화된 계산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인다. 이전에는 작은 변경사항도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했으나, 이제는 이를 단일 프로토콜로 통합하여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으며,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 종속성을 강화하고 있다.
에코는 자금 조달을 위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특히 프라이빗 세일 단계에서 특수 목적 법인(SPV)을 활용하여 여러 투자자를 하나의 계약으로 묶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복잡한 계약 절차와 법률적 리스크를 줄이고, 프로젝트 팀이 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퍼블릭 세일 단계에서는 ‘소나(Sonar)’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규제 친화적인 토큰 세일을 가능하게 한다. 타이거리서치는 이러한 요소들이 리퀴파이와 함께 코인베이스의 ‘풀 서비스 인프라’를 완성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온보딩 툴을 통해 성장한 프로젝트들은 베이스 체인에서 출시될 뿐만 아니라 코인베이스 거래소 메인보드와도 연동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것은 코인베이스가 프로젝트 성장을 자사 생태계 내에서 촉진시켜, 베이스 체인의 유틸리티와 트래픽을 증대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이는 애플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하여 자사 생태계를 조화롭게 구축한 사례와 유사하다.
현재 업계에서는 베이스 체인에서 자체 토큰인 베이스(BASE)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타이거리서치는 이 베이스 토큰의 가치는 결국 베이스 체인 위에서 얼마나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탄생할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양질의 프로젝트가 늘어날수록 체인의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생태계 전체의 평가 가치를 상승시킬 것이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는 리퀴파이, 에코, 그리고 베이스를 통해 통합된 웹3 온보딩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규제 준수, 기술 지원, 유동성 제공 등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리소스를 담보하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와 거래소 모두에게 유리한 ‘윈-윈’ 조건을 형성하는 구조로, 암호화폐 산업의 탈중앙성과는 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진입 장벽을 낮추고 생태계 확대를 가속화할 수 있는 점에서 시장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