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리플($XRP) 보유량 83% 감소…콜드 월렛 정비로 공급 구조 재편

[email protected]



코인베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리플(XRP) 지갑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암호화폐 업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과거 970만 개에 달하던 리플을 보관하던 콜드 월렛은 현재 단 10개로 줄어들었으며, 보유량 또한 83%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불과 3달 사이에 성사된 변화이다.

암호화폐 지갑 추적 서비스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지난 6월 기준으로 약 9억 7,000만 XRP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9월 현재 그 수치는 1억 6,500만 XRP로 줄어들었다. 이는 약 8억 XRP가 유출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10개의 콜드 월렛은 각각 약 1,650만 XRP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변화는 자산의 무작위적인 유출이 아닌, 계획적인 구조조정으로 여겨진다. 한때 52개에 달했던 콜드 월렛 중 다수가 사라졌으며, 남은 지갑들도 유사한 수량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내부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자산 이전 및 재배치 절차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전문가들은 이번 XRP 보유량 축소에 두 가지 주요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첫 번째는 공급 회전(pivot)이며, 이는 XRP 일부가 온디맨드 유동성(ODL) 시스템이나 상장지수상품(ETP) 형태로 전환되어 기존의 거래소 지갑에서 확인할 수 없게 된 경우를 의미한다. 두 번째는 가격 기반 분배 전략이다. 여름 동안 XRP 가격이 상승하자, 일정량이 매도되거나 다른 채널로 이전되는 조정이 이루어졌다는 분석이다.

또한, 코인베이스는 지난 8월 블랙록과 협력하여 자사의 플랫폼 ‘알라딘(Aladdin)’ 통합을 시작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까지는 비트코인(BTC)만 포함되어 있지만, 향후 리플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면 상당량의 XRP가 기관 투자 채널에 편입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10개의 콜드 월렛만 남은 상황에서, 코인베이스의 XRP 공급 구조는 완전히 재편되었다. 이 거래소를 통해 유통될 XRP 물량은 리플의 에스크로 물량 해제, 법인 보유분, 창립자들의 지분 등 외부 요인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변화했다.

이번 XRP 보유량 급감은 리플의 가격 안정성과 유통 구조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코인베이스의 내부 지갑을 통한 공급 측면의 모니터링이 향후 XRP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