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바이낸스 BNB 상장 추진…상장 조건 논란 exacerbation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바이낸스의 BNB 토큰을 상장 로드맵에 포함시킴으로써 양 거래소 간의 상장 조건에 대한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리미트리스 랩스(Limitless Labs)의 최고경영자 CJ 헤더링턴(CJ Hetherington)은 SNS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의 상장 요건 차이를 지적하며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헤더링턴은 바이낸스가 BNB의 현물 상장을 위해 200만 BNB, 즉 약 1,390억 원의 보증금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한 반면, 코인베이스는 단순히 Base 체인에서 유의미한 프로젝트를 구축하면 상장할 수 있다고 비교했다. 이로 인해 코인베이스의 Base 책임자인 제시 폴락(Jesse Pollak)은 “거래소에 상장하는 데 드는 비용은 0이어야 한다”고 발언하며 반박에 나섰다. 이는 양측의 입장이 더욱 극명하게 갈리게 만드는 상황을 초래했다.

바이낸스는 헤더링턴의 주장에 대해 “허위이며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이라고 반박하며 법적 조치를 암시하는 게시물을 올렸으나, 이후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 “소통 방식이 과했다”며 업계와 사용자에게 공식 사과하였다. 이러한 변동 상황은 두 거래소 간의 상장 정책과 철학의 차이, 그리고 시장 내 투명성 문제를 다시 한 번 재조명하게 만들었다.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코인베이스는 BNB 토큰을 자신들의 상장 후보 리스트인 ‘로드맵’에 포함한다고 발표하였다. 이 결정은 바이낸스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 CEO인 창펑 자오(Changpeng “CZ” Zhao)의 주목을 받았고, 그는 BNB 체인 기반 프로젝트의 추가 상장을 주문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두 거래소 간의 상장 조건 및 기준에 대한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바이낸스는 앞으로 토큰 상장에 있어서 금전적 대가를 받지 않았다고 주장해 온 만큼, 헤더링턴의 발언과 코인베이스의 진입은 각 거래소의 상장 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새롭게 평가하게 만드는 성격을 띠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상장 조건의 기준과 공정성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