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베이스’, 콘텐츠 코인 무기한 보유 결정…창작자 수익 구조 혁신

[email protected]



코인베이스(Coinbase)의 레이어2 블록체인 플랫폼 ‘베이스(Base)’가 콘텐츠 코인을 무기한 보유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급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창작 경제를 타겟으로 한 조치로, 콘텐츠 유통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창작자에게 직접 지급하는 새로운 보상 구조를 도입하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베이스는 자사 앱을 통해 콘텐츠 코인을 매입해 영구 보관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모든 2차 판매 수수료는 자동으로 창작자의 지갑으로 송금된다. 코인베이스는 이 전략이 단순한 투자 목적이 아니라, 창작자의 창의성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임을 강조하고 있다.

콘텐츠 코인은 단일 이미지, 밈, 텍스트 등 디지털 콘텐츠 조각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FT) 형태로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거래 가능한 형태로 만든 것이다. 최근 몇 달 동안 베이스는 콘텐츠 제작 플랫폼 조라(Zora)와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 기반 토큰 발행량이 급증하였으며, 일일 신규 토큰 생성량에서는 솔라나(SOL)를 압도하는 성과를 올렸다.

베이스의 창시자인 제시 폴락은 “콘텐츠의 가치는 실제로 존재하며, 수익 창출은 창작자의 행동과 커뮤니티의 반응으로 만들어진다”며 “이는 전통 예술 시장의 가치 형성 방식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콘텐츠 코인이 업계에서 창작자의 가치를 가장 강력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도구라고 평가하는 한편, 문화적 파급력에 따라 가치가 조정되는 점에서 일반적인 밈코인과는 큰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변화는 창작 시장에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콘텐츠 코인을 통한 창작자 수익 구조는 전통적인 소셜 플랫폼과는 다르게 진행된다. 조라의 공동 창립자인 제이컵 혼은 “기존 SNS에서는 수십만 명이 콘텐츠를 공유해도 직접적으로 수익이 발생하지 않지만, 콘텐츠 코인은 반복 판매를 통해 창작자에게 지속적으로 수익 모델을 제공한다”고 기존 구조의 한계를 명확히 지적했다.

그러나 콘텐츠 코인에 대한 시각은 상반된 의견으로 나뉜다. 일부에서는 콘텐츠 코인을 또 다른 유형의 밈코인으로 간주하고 비판하고 있지만, 베이스와 조라는 기존 암호화 콘텐츠 생태계의 근본적 재편을 목표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베이스의 발표는 웹3 시대의 창작자 중심 경제 모델 구축을 위한 또 하나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