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이 ‘종말’이 아니라 ‘구조적 재조정’이라고 분석했다. 그들은 과도한 레버리지가 제거되었고 암호화폐 시장의 기본적인 구조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코인베이스 리서치팀은 지난 10월에 일어난 대규모 청산에도 불구하고, 이를 ‘건강한 리셋’으로 해석하고 있다.
비트코인(BTC)와 이더리움(ETH)의 가격은 비교적 빠르게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으며,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들은 레버리지가 적은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기반의 블록체인과 실물자산(RWA), 수익형 프로토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며, 선별적으로 ‘위험 감수 재개’에 나서고 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투자한 알트코인들은 큰 타격을 입었고, 회복 속도도 상대적으로 느린 상황이다.
코인베이스는 앞으로 몇 개월간 시장이 급격한 반등보다는 완만한 회복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점유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이후 일부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순환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러나 눈여겨봐야 할 점은 시장의 유동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공급이 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자금이 새롭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자금이 돌아다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러한 시장의 반등을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유인책이나 새로운 서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또한 매크로 경제 환경도 시장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조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무역 분쟁, 재정적자, 그리고 국채 수익률 급등 가능성 등이 여전히 리스크 요소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인베이스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주도하는 생산성 향상이 리스크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이번 분석은 대세 상승장이 종료된 것보다는 일시적인 조정에 가까운 시각을 제공하며, 향후 시장 흐름에 대해 완전히 부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기에는 이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국 암호화폐 시장은 구조적 재조정 후 다음 단계로 나아갈 준비가 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신중한 기대를 갖게 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