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상장하며 자사 자산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8월 21일에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1에 대한 상장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상장 이후 USD-1은 4개월 만에 2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빠르게 시장에서 자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USD-1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발행되었으며, 구조적으로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에서 USD-1을 매수하고 매도하며, 전환, 송금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미국 사용자 사이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성을 높이는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인베이스 관계자는 이번 상장을 통해 USD-1의 규제 준수성을 더욱 강화했다고 밝혀, 규제 문제에 민감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뢰를 제공하고 있다. USD-1은 올해 4월 메인넷을 출시 이후 급속히 성장해 왔으며, 이번 상장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약 2조 3,070억 원(약 2.3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신규 스테이블코인으로서는 이례적인 성장 속도로 평가되고 있다.
상장 초기에는 USD1-USD 거래쌍으로만 제한된 형태로 진행되었지만,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이제는 전면적인 거래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물론 사용자는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USD-1은 오직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송금이 가능하며, 다른 네트워크로 자산을 전송하는 경우 상당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거래소 측은 공식 계약 주소(0x8d0D000Ee44948FC98c9B98A4FA4921476f08B0d)를 공개하며 사용자에게 잠재적 위험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USD-1 거래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렸다.
이번 상장 활동은 단순히 USD-1의 수용을 확대하는 것에 그치지 않으며, 코인베이스가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불과 지난주에도 코인베이스는 자체 레이어2 체인인 ‘베이스(Base)’ 위에 USDC를 상장하면서 시장에 대한 대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접근은 플랫폼 내 유동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글로벌 사용자 기반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USD-1은 코인베이스 공식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iOS, 안드로이드)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이번 상장을 통해 USD-1이 테더(USDT)나 USDC와 같은 기존 시장 강자들과 어떤 경쟁을 벌이게 될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USD-1 상장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지형을 변화시킬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 또한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