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기반의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가 코인베이스의 주도로 최근 신규 토큰 출시 부문에서 솔라나(SOL)를 넘어서는 성과를 내고 있다. 조라(Zora)와 파캐스터(Farcaster)와의 통합이 주요 촉매제로 작용하여 베이스의 일일 토큰 생성량이 급증하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크립토랭크(CryptoRank)의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스는 7월 중순부터 솔라나를 넘는 신규 토큰 출시량을 기록하기 시작했으며, 이 추세는 한 달 내내 이어져 두 네트워크 간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듄 애널리틱스(Dune Analytics)가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7월 27일 베이스는 하루에 무려 5만4341개의 토큰이 발행되었으며, 이는 같은 날 솔라나의 두 배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와 같은 증가세는 주로 조라와 파캐스터를 베이스 플랫폼에 통합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라는 콘텐츠를 ERC-20 토큰 또는 NFT로 직접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파캐스터는 이들을 더 많은 커뮤니티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들은 몇 번의 클릭으로 게시물을 유동성 풀 및 관련된 토큰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 커뮤니티 내에서 미미코인과 실험적 토큰의 생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7월 초까지 베이스의 일일 토큰 생성량은 약 6600개 수준이었으나, 한 달 만에 하루 평균 4만5000개를 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거래량 측면에서 여전히 솔라나가 앞서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즉, 생성된 토큰 수에서는 베이스가 앞서지만, 실제 시장에서의 토큰 활성도에서는 솔라나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는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커뮤니티 친화적이고 저비용 구조를 갖춘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밈코인과 유희성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ZORA 토큰은 7월 동안 가격이 1000% 넘게 급등했으며, 이는 이번 통합이 단순한 유틸리티 확대를 넘어서 투자 심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베이스의 영향력은 단순히 토큰 발행량에 그치지 않는다. 최근 6개월 평균 기준으로, 베이스는 일일 수익 18만5291달러(약 2억 5,759만 원)를 기록하며 모든 레이어2 네트워크에서 수익 기준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아비트럼(Arbitrum)의 5만5025달러(약 7,636만 원)와 다른 상위 14개 레이어2 네트워크의 총합보다도 많은 수치이다.
이 같은 수익 모델은 EIP-1559에 근거한 수수료 구조와 ‘타임부스트’ 기반 고정 비딩 시스템을 넘어 수요 중심의 유연한 수수료 경매 메커니즘 덕분에 가능하다. 실제로 전체 수익의 86%에 해당하는 일평균 15만6138달러(약 2억 1,684만 원)가 프라이오리티 수수료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베이스는 ‘플래시블록’ 업그레이드를 통해 거래 처리 속도를 개선하여 디파이 시장 내 유동성과 블록 스페이스 수익률까지 동시에 향상시켰다.
베이스가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새로운 실험 무대로 부상하고 있다는 주장은 점점 더 확고해지고 있다. 퍼포먼스뿐만 아니라 수익성과 커뮤니티 활동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을 보여주며, 솔라나를 넘어서는 인기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