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시장에서 기관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코인베이스 프라임의 거래량이 하루 동안 4600BTC 이상 급증하여 유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래소 내에서 순유출세가 지속되고 있어 매도 압력을 완화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크립토퀀트의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2일(UTC 기준) 비트코인 거래소의 순입출금은 –775BTC로 집계되었다. 최근 5일간의 유입 및 유출 추세를 살펴보면, 9월 28일에 –148BTC 순유출을 시작으로, 29일에는 13BTC의 순유입, 30일에는 –5,242BTC 순유출, 10월 1일에 939BTC 순유입, 그리고 10월 2일에 다시 –775BTC 순유출이 발생했다. 이러한 변동성 속에서도, 30일과 2일에는 연속적으로 순유출세가 나타나 매도 대기 물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코인베이스의 프리미엄 지표는 10월 1일 0.054%를 기록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최근 프리미엄 지표는 9월 26일에 0.049%에서 시작해 28일에는 0.030%로 급락하다가, 29일에 0.046%로 반등했고, 30일에는 0.016%로 다시 하락하는 등 등락을 반복했다. 그러나 10월 1일에는 매수세의 확연한 회복이 확인됐다.
코이니지의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프라임의 비트코인 거래량은 10월 1일 기준 약 9687BTC로, 9월 30일의 5045BTC에 비해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달러 기준으로 약 6억6665만 달러에 해당한다. 이처럼 단기적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수급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는 것은 거래 활발화와 매수·매도 간 균형 변화의 시사를 의미한다.
이번 데이터는 미국 시장에서의 비트코인 수급 흐름을 점검하고 투자 심리 변화를 추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국의 기관 투자자들이 주로 거래하는 코인베이스에서의 유출입 현황과 프리미엄 인덱스, 비공식거래(OTC)량 등 주요 지표들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수급 환경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이런 정보들은 시장의 단기 흐름과 전반적인 투자 온도를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 프라임에서의 거래량 급증과 거래소 내 매도 압력 완화는 기관 수요 회복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시장의 활성화와 안정화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