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는 약 1억 3,483만 원(97,000달러) 상당의 리플(XRP) 1,669만 8,207개를 한 번의 트랜잭션으로 수신했다. 이번 대규모 전송은 온체인 추적 플랫폼 ‘웨일 알러트(Whale Alert)’에 의해 최초로 감지되어 금융 시장의 주목을 받았으나, 자세한 분석 결과 이 거래는 코인베이스 내부 지갑 간의 이동인 것으로 확인됐다.
처음에 민첩한 외부 고래 투자자들이 대량으로 XRP를 입금한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사실은 코인베이스의 콜드 지갑 ‘197’에서 ‘Cold Wallet 6’으로의 내부 자산 이전이었다. 이러한 지갑들은 모두 거래소의 주요 리저브로, 일상적으로 약 1,650만 개의 XRP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코인베이스는 이와 유사한 대형 보유 지갑을 27개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이런 이동은 대개 보안 관리나 기술적 중국 재배치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거래 규모의 크기 자체는 여전히 시장의 경계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XRP의 블록체인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는 커뮤니티는 이 같은 움직임이 단순한 회계 정정에 그칠 것인지, 아니면 대량 매도의 신호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 거래소의 자산 이동에 따라 시장의 반응도 민감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재 XRP는 약 3.18달러(약 4,424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몇 달간 박스권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기술적 지지·저항선인 약 3.30달러를 돌파하지 못할 경우 단기적인 추세 변화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를 넘어서게 된다면 3.50달러(약 4,865원) 나아가 3.70달러(약 5,143원)까지의 상승 여지가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번 대규모 내부 전송은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코인베이스의 XRP 지갑 활동은 앞으로도 여러 해석과 추측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비록 이번 이동이 명확한 내부 전송으로 밝혀졌지만, 금융 시장은 거래소 내 자산의 움직임에 여전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그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고지 및 투명성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코인베이스의 자산 관리 방식과 시장의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