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USDC 전환 수수료 부과 결정…수익 다변화 시도

[email protected]



코인베이스가 오는 8월 13일부터 자사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수수료 정책을 변경하고, 미국 달러와 USD코인(USDC) 간 전환에 최대 0.1%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 수수료는 30일 기준 순 전환액이 500만 달러(약 69억 5,000만 원)를 초과할 경우 적용되며, 순 전환액에서 USDC 구매액을 제외한 순매도액을 토대로 산정된다.

이번 조치는 코인베이스가 최근 실적 부진에 직면한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의 예측치를 밑돌았고, 그 여파로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USDC 관련 수익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3억 3,200만 달러(약 461억 원)를 기록하여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회사이자 블록체인 미디어인 뱅크리스의 공동 설립자인 라이언 숀 아담스는 이 같은 수수료 부과 방식에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기준 금액이 1만 달러(약 1,390만 원)로 줄어든다면 결국 전통 은행 수수료 체계와 별다를 바가 없게 될 것”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불안을 더욱 부각시킬 전망이다.

코인베이스는 이번 정책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활용하며 수익 다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수수료 정책의 변화는 업계 전반에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다른 주요 거래소들이 유사한 방침을 도입할지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경쟁 상황은 어느 때보다 치열하며, 이용자들의 스테이블코인 운용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코인베이스의 수익 확보를 위한 실험적인 접근 방식은 향후 더 많은 거래소들의 유사한 정책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변화에 대한 업계의 반응이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