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퀘벡주 정부가 공공장소에서의 기도를 금지하는 법안을 올해 가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법안 추진은 퀘벡주 최대 도시인 몬트리올에서 발생하는 ‘거리 기도’ 현상과 관련이 있다. 장 프랑수아 로베르 퀘벡주 이민부 장관은 이 조치가 “모욕적이지 않은 실질적인 대응”이라고 강조하며, 현재 상황이 “심각하고 민감한 문제”라며 정부의 우려를 표명했다.
프랑수아 르고 퀘벡주 주지사 또한 작년에 몬트리올에서 공공장소에서의 기도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거리나 공원에서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고 언급하며, 기도의 장소는 교회나 모스크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들은 주 정부의 법안 추진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번 법안은 몬트리올의 노트르담 성당 앞에서 ‘몬트리올4팔레스타인’이라는 단체가 6개월 동안 기도 시위를 해온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퀘벡주 정부의 이 법안이 종교적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특정 종교 공동체를 겨냥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무슬림 단체인 ‘캐나다 무슬림 포럼’은 “이 법안은 퀘벡 내 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낙인 찍기와 배제를 조장하며, 사회적 화합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직 언론인이자 전 캐나다 상원의원 안드레 프라트는 가톨릭 신자들이 공공장소에서 기도해온 역사에도 불구하고 무슬림 기도만을 겨냥한 조치라고 비난하였다. 그는 이 법안이 본질적으로 무슬림 기도를 불편하게 여기는 것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퀘벡주 정계는 세속주의와 종교 포용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지지 여론과 반대 여론이 나뉘고 있다. 퀘벡미래연합당(CAQ)은 세속주의를 중심으로 한 입법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2019년에는 공무원이 근무 중 종교적인 상징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시행했다. 최근에는 공립학교에 기도실을 설치하는 것조차 금지하는 지침을 내렸다. 이러한 조치는 무슬림 단체들에 의해 권리 침해로 지적되었고, 해당 단체들은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퀘벡주 정부의 공공장소 기도 금지 법안은 앞으로 법적 및 사회적 논란을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는 다문화 사회로서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존중해야 할 책임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논쟁이 실제로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