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기업가치를 약 200억 달러(약 28조 8,000억 원)로 평가받으며 최대 3억 달러(약 4,320억 원)의 신규 자금 조달을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펀딩은 전략적 투자자로부터 유입될 예정이며, 계약은 현재 협상 중에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보도는 포천이 전날 발표한 내용과 연관되어 있어 업계의 관심을 더욱 모으고 있다. 포천에 따르면 크라켄은 올해 초에 이미 5억 달러(약 7,2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했으며, 당시의 기업가치는 약 150억 달러(약 21조 6,000억 원)로 평가되었다. 크라켄은 ‘페이워드(Payward Inc.)’라는 법인명으로 운영되며, 9백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리잡고 있다.
크라켄은 암호화폐 거래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생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제 기업 주가를 추종하는 디지털 자산 ‘x스톡스(xStocks)’를 출시하여 여러 종목의 추종 자산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용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기관 고객을 위한 차트 기반 거래 소프트웨어,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를 포함한 여러 금융 도구를 운영 중이다. 특히 와이오밍 주의 인가를 받은 ‘크라켄 파이낸셜’을 통해 은행 수준의 예치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투자 유치가 시장의 이목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크라켄의 기업공개(IPO) 일정과의 연관성 때문이다. 포천에 따르면 크라켄은 2026년 기업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신규 투자 유치는 운영자금이 아닌 직원 및 초기 투자자에 대한 유동성 확보나 추가 인수합병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크라켄은 지난 3월에 15억 달러(약 21조 6,000억 원)에 미국의 암호화폐 선물 거래 플랫폼 닌자트레이더(NinjaTrader)를 인수하여 약 200만 명의 신규 고객을 확보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꾀한 바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잇따른 성공적인 기업공개 사례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써클, 피겨 테크놀로지, 불리시 USA 등은 지난 기간 동안 총 30억 달러(약 4조 3,2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기업공개를 통해 조달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크라켄의 상장 일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시장의 이목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