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최근 프라이버시 코인인 모네로(XMR)의 입금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이는 특정 마이닝 풀이 모네로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 50% 이상을 차지하면서 발생한 51% 공격 가능성 때문으로, 업계에서는 이 사태를 매우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크라켄은 5일(현지시간) 공식 발표를 통해 “하나의 마이닝 풀이 모네로 네트워크 Hash Rate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이는 이 네트워크의 무결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AI 기반의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쿠빅(Qubic)이 지난 월요일 모네로의 과반 해시레이트를 장악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블록체인을 보호하기 위한 전체 컴퓨팅 파워를 나타내며, 특정 주체가 51% 이상 이 해시레이트를 차지하면 이중 지불 및 거래 조작과 같은 악의적인 행위가 가능해진다.
모네로는 익명성과 개인 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암호화폐로, 자주 개인 간의 비공식 거래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프라이버시 중심의 암호화폐가 네트워크 보안 위협에 홀로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 모네로 커뮤니티에서는 마이닝 풀의 집중도를 줄이는 방안과 유사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네트워크 수정 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보안은 핵심 문제이며, 이번 사건은 모든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반드시 참고하고 대비해야 할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번 사건은 거래소의 보안 조치가 단순한 서비스 문젯거리를 넘어서 암호화폐 생태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모네로와 같은 프라이버시 코인이 직면한 지속적인 도전과 기술적 한계들은 앞으로 더욱 활발한 논의의 주제가 될 전망이다. 거래소와 커뮤니티는 이번 위기를 기회로 삼아 보다 안전하고 분산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