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최근 모네로(XMR) 네트워크의 보안 문제로 인해 입금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유는 모네로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 절반 이상을 특정 채굴 풀이 장악함에 따라, 51% 공격의 가능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프라이버시 코인으로 잘 알려진 모네로는, 익명성과 보안을 중시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오랜 시간 신뢰를 쌓아왔다. 그러나 최근 몇몇 채굴 풀이 전체 해시 파워의 과반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러한 보안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
51% 공격이란 특정 채굴 풀이 블록체인 전체 연산 능력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어 블록 체인을 재구성하거나 이중 지불(Double-spending)을 시도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의미한다. 크라켄 측은 공식적인 공지를 통해 “단일 채굴 풀이 모네로 전체 해싱 파워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는 네트워크 무결성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모네로 입금 기능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채굴 풀은 AI 중심의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인 큐빅(Qubic)으로, 이들은 최근 모네로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를 대량으로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총 6개의 블록을 재조직한 사실도 드러났다. 그러나 모네로 커뮤니티는 이 같은 주장에 의문을 품고 있으며, 공격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현재까지 크라켄 측은 입금 재개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모네로 사용자들과 커뮤니티 내에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오랜 시간 동안 프라이버시 코인으로서의 신뢰를 유지해온 모네로가 이번 51% 해시 집중 사태로 인해 네트워크의 탈중앙성과 보안성에 대한 의문을 다시 한 번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모네로 커뮤니티의 반응은 민감하다. 다수의 사용자는 과거 보안 이슈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은 해시레이트의 균형이 무너지면, 해당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신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향후 모네로 네트워크가 이 51% 공격의 위협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암호화폐 분야에서의 안전성 및 신뢰 구축에 중요한 테스트 케이스가 될 것이다. 이제 사용자들도 보다 신중하게 자신의 자산을 관리하고, 거래소의 안내 사항에 귀 기울이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