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기업공개(IPO)를 위해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하며 상장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회사는 약 150억 달러(한화 약 20조 8,500억 원) 시가총액 기준으로, 5억 달러(약 6,950억 원) 규모의 프라이빗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이 자금 조달은 2026년 IPO라는 중장기 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디지털 자산 업계에 다시금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기존 벤처 캐피털인 트라이브 캐피털과 그 공동 CEO 아르준 세티(Arjun Sethi) 등 주요 기관이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이번 조달에 이어 크라켄이 지금까지 누적한 투자금은 약 5억 2,700만 달러(약 7,320억 원)로 증가했다. 포춘지에 따르면, 이번 자금 조달은 외부 주관사 없이 크라켄 스스로 주도한 것으로, 이는 회사가 시장에서의 지위와 미래 비전을 스스로 신뢰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해석된다.
크라켄은 2011년에 설립 이후 전문 투자자와 기관들이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2분기 기준으로 매출은 4억 1,100만 달러(약 5,715억 원), EBITDA 이후 순이익은 8,000만 달러(약 1,112억 원)에 달하는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성을 보여준다. 최근 크라켄은 전통 금융과의 융합 전략을 강력히 추진 중이며, 올해 초에는 파생상품 플랫폼인 닌자트레이더(NinjaTrader)를 15억 달러에 인수하고, 애플($AAPL)과 테슬라($TSLA)와 같은 전통 기업들의 주식을 토큰화한 xStocks와 같은 신상품을 출시하며 시장 확장을 꾀하고 있다.
아르준 세티는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부터 토큰화된 자산까지 다양한 금융 자산의 블록체인 전환이 시간문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크라켄은 이를 통해 투자 접근성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의 말에 따르면, 크라켄의 강점은 높은 유동성과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에 있으며, 특히 거래량이 많은 고객을 위한 설계가 핵심 요소라고 덧붙였다.
디지털 자산 업계에서는 IPO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USDC을 발행하는 서클과 제미니, 불리시 등 주요 기업들이 올해 들어 잇달아 상장에 나섰으며, 서클은 첫날 거래에서 사상 최대의 급등세를 기록했다. 2021년의 과열 버블 이후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IPO 시장이 올해 다시 움직이고 있으며, 크라켄도 이 타이밍을 활용하여 상장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2026년이라는 두루 긴 상장 일정은 일부 투자자들로 하여금 관망세에 빠지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분석가들은 주식 시장의 고평가 우려와 신규 상장 암호화폐 기업들이 만나는 여러 난관, 즉 매출 기반의 기초체력 등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서클은 기준금리 하락으로 수익 압박에 시달리고 있으며, 제미니와 불리시는 사용자 수 기반에서 크라켄과 코인베이스(Coinbase)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런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크라켄은 유럽과 영국 외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으며, 경쟁 업체들보다 더 넓은 분산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대규모 자금 조달은 단순한 성장의 연장이 아닌, 글로벌 상장을 겨냥한 본격적인 도약의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