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시장에서는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가 수개월 만에 가장 큰 자금 유출을 겪고 있는 반면, 이더리움(ETH) ETF는 기관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가 이어지며 주목할 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더리움은 기관의 매수세 덕분에 ETF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유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에 따르면, 지난주 스폿 비트코인 ETF에서는 약 11억 8,000만 달러(약 1조 6,442억 원) 규모의 자금이 유출됐다. 같은 기간 이더리움 ETF에서도 약 9억 1,800만 달러(약 1조 2,759억 원)가 유출되었지만, 이더리움의 자금 유출은 8월 20일 이후 안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사실, 이더리움은 8월 24일 사상 최고가인 4,940달러(약 686만 원)를 기록하며 시장에서의 저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한편, 비트코인의 자금 이탈은 8월 15일부터 22일까지 무려 6거래일 연속이어졌으며, 이는 이전의 7일 연속 순유입을 기록했던 것과는 상반된 흐름이다. 이 시기에 비트코인은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로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1만 5,000달러(약 2,085만 원) 이상 하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약세 전환은 잭슨홀 심포지엄과 관련된 변수에도 영향을 받았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통화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피하고자 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줄였고, 이로 인해 비트코인은 8월 말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 아래로 급락했다. 이후 시장에서 다소 완화된 전망이 반영되었을지라도, 비트코인의 상승 동력은 회복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조적으로, 이더리움은 기관 중심의 다수의 매수세에 힘입어 하방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 국고를 확보하고 있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매입이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ETH의 매도 물량을 상당 부분 소화하면서 ETF 시장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기업은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이다. 이 회사는 최근 단기간에 8억 달러(약 1조 1,120억 원) 규모의 이더리움을 매입하여 비트코인을 주로 보유했던 마라 홀딩스를 제치고 업계 2위 디지털 자산 국고 보유 기업으로 부상했다. 이는 이더리움이 기관 유동성 시장에서 비중을 늘려가고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비트파이넥스는 “매년 8~9월 기관 투자 기반의 위험자산 ETF에서는 순유입 속도가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며, “단기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여름철 시즌성의 영향을 고려할 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조정 구간에 머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