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스파크, 비트코인 채굴 수익 증가…연간 순이익 3,579억 원 달성

[email protected]



비트코인 채굴 기업인 클린스파크가 역사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격조 높은 매출과 수익성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11일(현지 시간)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클린스파크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의 회계 연도 3분기 동안 총 1억 9,860만 달러(약 2,761억 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의 1억 400만 달러(약 1,446억 원)에서 91% 증가한 수치로, 시장의 예상치를 소폭 초과하는 성과다. 잭 브래드퍼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분기는 클린스파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이며, 우리의 전략이 결실을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3분기 동안 클린스파크의 순이익은 2억 5,740만 달러(약 3,579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억 3,620만 달러(약 3,284억 원)의 적자를 크게 극복했다. 이를 통해 희석 주당순이익(EPS)은 78센트로, 시장의 기대치였던 20센트를 약 4배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 클린스파크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개리 베키아렐리는 “이번 분기는 비트코인 채굴로 발생한 수익이 운영 비용을 모두 충당하고, 동시에 우리의 비트코인 보유량도 확장할 수 있었던 중요한 분기”라고 언급했다.

또한 클린스파크는 미국 상장 채굴 기업 중 최초로 해시레이트 50EH/s(엑사해시/초)를 달성했다. 현재 회사는 전체 글로벌 해시레이트의 5.8%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클린스파크는 추가적인 지분 발행 없이도 비트코인 자산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했으며, 현재 보유한 비트코인은 총 12,703개에 이르며 시가 기준 약 14억 8,000만 달러(약 2조 584억 원)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상장사 중 아홉 번째로 많은 보유량으로, 회사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놀라운 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클린스파크의 주가는 실적 발표 당일에 2.5% 하락하여 10.72달러(약 1만 4,897원)로 마감되었고, 장 마감 후 일부 반등이 있었으나 상승 폭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클린스파크는 향후 전략과 실행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시장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반응할지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