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년 동안 한국을 찾는 외국인 피부과 환자가 117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의 유명 셀럽 킴 카다시안이 한국에서 피부과 시술을 받으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 한국 피부과의 인기 실태가 통계로 확인되었다.
2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4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해 피부과 진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는 총 70만5044명으로, 전년도 23만9060명에서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 숫자는 2009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이후 6015명에서 117배로 늘어난 것이며, 이는 한국을 찾는 외국인 환자 수가 전체적으로 19배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특히 피부과 환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짐을 보여준다.
피부과는 진료 과목별 비중에서도 단연 독보적이다. 2009년 전체 외국인 환자 중 피부과가 차지한 비율은 9.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56.6%를 기록하며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2024년 기준으로 성형외과가 11.4%, 내과통합이 10.0%, 검진센터가 4.5% 순으로 나타나는 것과 비교될 수 있다. 의원급 치료에서는 피부과가 무려 72.6%의 비율을 갖고 있어 그 인기를 실감케 한다.
특히, 최근 5년간 데이터를 보면, 2019년에는 내과통합이 19.2%로 가장 많았으나, 성형외과(15.3%)와 피부과(14.4%)가 뒤를 이었다. 하지만 2023년부터는 피부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 조제 피부과의 reputation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피부과를 찾은 외국인 환자들은 일본(43.7%), 중국(24.4%), 대만(9.6%), 미국(5.7%), 태국(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술 비용과 높은 시술 효과, 그리고 뛰어난 사후 관리로 인해 ‘피부과 원정’은 단순한 치료를 넘어 한국 여행의 주요 코스로 자리잡았다.
특히 킴 카다시안의 한국 방문이 각종 매체와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한국 피부과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더욱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녀는 서울의 유명 피부 클리닉 몇 곳을 방문하여 시술을 받았으며, SNS에 이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한국 피부과의 높은 수준을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한국 피부과의 성장세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문화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계속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은 그 중심지로 더욱 부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