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리서치, 베트남 블록체인 위크 ‘GMVN’ 공식 리서치 보고서 발표

[email protected]



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 기업인 타이거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이 동남아시아 웹3 혁신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보고서는 베트남 블록체인 위크 ‘GMVN’의 공식 리서치 파트너로서 이뤄진 분석 결과를 담고 있으며, 행사 일정은 오는 8월 1일부터 2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의 국립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베트남의 젊고 기술 친화적인 인구 구조와 높은 암호화폐 채택률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의 성인 약 2,120만 명이 암호화폐를 보유하거나 사용하고 있으며, 연간 거래량이 1,000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웹3 생태계의 빠른 성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타이거리서치는 베트남 정부가 규제 샌드박스 및 공식 라이선스 프레임워크 도입에 나서면서, 2026년까지 베트남이 암호화폐 허브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현재 국내외 거래소는 바이낸스와 바이비트 등 글로벌 플랫폼에 의존하고 있으며, 명확한 규제가 수립될 경우 모든 거래소가 법적 테두리에서 운영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이 보고서는 디파이 프로토콜인 카이버 네트워크와 펜들 파이낸스 등 베트남 엔지니어들이 공동으로 설계한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는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성공을 거두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게임 ‘액시 인피니티’를 개발한 스카이 마비스는 2021년 플레이투언(P2E) 열풍의 중심에 서며 베트남을 글로벌 웹3 생태계로 부각시켰다.

기술 인재의 측면에서도 베트남은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IT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한다. 연간 5만에서 6만 명의 관련 전공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약 56만 명의 IT 전문가가 활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교육을 강화한다면 베트남이 세계적인 웹3 인재 공급처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타이거리서치의 김규진 대표는 “베트남 웹3 시장은 단순한 투기를 넘어 실질적인 생태계 확장을 이끄는 중요한 거점이다”라며, “명확한 규제 체계가 확립될 경우 이 같은 추세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베트남의 웹3 시장이 글로벌 산업 트렌드의 중심에 서게 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어, 웹3 및 블록체인 관련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