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사상 최대 규모 암호화폐 자금세탁 사건 발생…1,000억 원 규모 범죄 조직 기소

[email protected]



타이완에서 발생한 사상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자금세탁 사건이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현지 검찰은 피해자 수가 1,500명이 넘는 이 사건의 핵심 피의자 14명을 기소했다고 전하며, 총 약 1,000억 원에 달하는 불법 자금이 거래에 사용되었다고 밝혔다.

타이베이 시의 스린지방검찰청은 이들을 사기, 자금세탁, 조직범죄 등의 혐의로 기소하였고, 피해자 자금 중 불법 수익으로 간주되는 약 3,980만 달러(약 553억 원) 상당의 토지를 국가에 몰수해달라는 요청을 법원에 제출했다. 이와 더불어, 테더(USDT) 형태의 64만 달러(약 8억 9,000만 원)와 비트코인(BTC), 트론(TRX)와 같은 암호화폐 자산의 규모도 확인중이다.

검찰에 따르면, 추가로 압수된 자산에는 약 180만 달러(약 25억 원)의 현금과 고급 외제 차량 2대, 총 313만 달러(약 44억 원)의 은행 예치금이 포함되어 있다. 검찰은 앞으로도 남은 수익금을 회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자금세탁 사건은 대규모 사기범죄로 모은 현금을 외화로 환전한 후 해외로 송금하고, 다시 타이완 암호화폐 거래소인 ‘BiXiang테크놀로지’를 통해 테더(USDT) 형태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검찰은 이러한 범죄 구조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공소장에 자금세탁의 흐름도를 첨부했다. 타이완 당국은 최근 암호화폐를 악용한 국제 범죄가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고 경고하며,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자금세탁에 대한 감시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번 사건은 테러금융이나 외국의 불법 네트워크와의 연계 등 사회적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회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는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닌 범죄의 도구로 악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타이완 내에서의 암호화폐 사용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규제와 감시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디지털 자산의 특성을 고려한 감시 체계 및 법적 장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Leave a Comment